prev
next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자주 묻는 Q&A!! 일반편입 VS 학사편입, 뭐가 더 유리할까??

관리자
283 0 0

 

 

 

001.png

일반편입 VS 학사편입, 아직도 고민중이시라구요??

각각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002.png

 

일반편입의 지원 자격요건은 위와 같습니다.

평균적으로 이수학점으로 요구하는 것은 60~70학점 정도지만

학교 및 학과별로 상이하므로 꼭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003.png

 

학사편입의 지원 자격 요건은 위와 같습니다. 

요구하는 이수학점은 140학점 이상으로,

딱 140학점이 되고 괜찮고, 140학점을 넘겨도 무관합니다. 

 

004.png

 

다음으로, 일반편입의 장점과 단점을 자세하게 살펴보아요!

일반편입의 장점으로는,

첫째, 단기간 내에 지원이 가능합니다.

둘째, 서류 비중이 높은 학교 혹은 상위권의 학교의 경우, 전적대가 어디냐에 따라 유리할 수 있습니다. 

편입 전형에서 서류 비중이 높거나, 일부 상위권 학교의 경우, 일정 수준의 학점을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학점과 합격률이 비례하지는 않지만 아무래도 학점은 고고익선이 좋겠죠? 

그리고 전적대가 어디냐에 따라 편입 공부의 기본 시작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서울 중위권의 전적대를 가지고 있다면 유리한 시작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편입의 단점으로는, 

첫째, 학교 및 학과별로 T.O의 변동성을 예측하기가 힘듭니다. 

실제로, 2022학년도 국민대 편입학 시험에서는 일반편입의 모집을 실시하지 않아 수험생이 단체로 경악을 금치 못했던 일이 있습니다. 

둘째, 전형의 경쟁률과 커트라인이 학사편입보다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단기간 내에 지원이 가능한 점을 들어 지원자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실력을 가진 많은 학생들이 도전하기 때문에 커트라인도 상대적으로 높은 곳이 많습니다. 

셋째, 지원자들의 수준이 천차만별입니다. 

외국에서 공부하다 온 학생, 서울 중하위권의 전적대를 가진 학생, 고등학교 때 외고를 다녔던 학생 등등 지원자 수가 많은 만큼 학생들의 실력 스펙트럼도 다양합니다. 

 

005.png

 

다음으로는 학사편입의 장점과 단점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일반편입의 장점과 단점이

학사편입의 단점과 장점으로 볼 수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006.png

 

각 전형의 장점과 단점은 개인별로 다르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간과 비용, 그리고 개인의 학습 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해서

전형방법을 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007.png

편입시험 준비, 편입에 대한 다양한 정보,

편입: 다푼다와 함께하세요:)

신고공유스크랩
“코칭”

댓글 0

댓글 쓰기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