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next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독해자료 [편입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 과학 / 식물연구의 편향성

서강대인문합격생
72 0 0

Scientists prefer studying pretty plants to dull ones

 

Who invented the term “charismatic megafauna” is lost in the mists of time. It does, though, describe a real phenomenon, which is that big, showy animals tend to get a disproportionate amount of attention from biologists. Whether this reflects the prejudices of the researchers themselves or is a consequence of a wider public interest in preserving showy species, and of the concomitant funding which accompanies that interest, is not clear. Probably a bit of both. But what is true for the animal kingdom is, it now turns out, true for the vegetable one as well, as Martino Adamo of the University of Turin, in Italy, describes this week in Nature Plants. While conducting research in the mountains near Turin on Tephroseris balbisiana, a scruffy yellow-flowered ragwort, Dr Adamo noticed it was easier to track down information about other, more beautiful, species found in the region than it was to discover things about the object of his own research. That led him to wonder if the well-attested preferences of zoologists for the showy also extends to botanists. To find out, he recruited a team of fellow researchers to help him analyse the literature on the matter. To keep the project within bounds, the team restricted their attention to Dr Adamo’s original area of investigation, the south-western Alps. Surveys suggest this is inhabited by 113 endemic plantsa number large enough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but small enough to be tractable. First, the team compiled, for each of these species, a set of data that recorded three types of trait: ecological (preferred elevation, soil acidity, light levels and moisture); rarity (range size, and also conservation status as described by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aesthetic (flower colour, stem height and flower diameter). They then searched a site called the Web of Science for papers published since 1975 that included the names of any of the species in question.

They found 280 such papers, statistical analysis of which revealed that certain plants were not only more studied than others, but also shared certain traits more often than would be expected by chance. Foremost of these was flower colour. Plants with blue flowers, such as Gentiana ligustica, the trumpet gentian, were heavily over-represented. White-flowered plants did well, too. And so did those which display their flowers prominently, on long stems. The other cause of greater-than-expected scientific attention was a plant’s rangethe larger the better. That, presumably, is a consequence of ease of study. But in the matter of charisma, it seems that, like the insects which flowers have evolved to attract, botanists are lured by the showy, and are therefore just as susceptible as their zoological colleagues to aesthetic bias in their choice of topic.

 

어휘 dull재미없는 term용어,학기 phenomenon현상 showy현란한 disproportionate불균형의 prejudice편견 consequence결과 concomitant수반되는 accompany동반하다,동행하다 turn out드러나다 conduct행동하다 scruffy지저분한 track down찾아내다 attest증명하다,증언하다 extend연장하다 botanist식물학자 recruit모집하다,설득하다 fellow동료 analyse분석하다 within이내에 restrict제한하다 inhabit못하게하다 endemic고유의,풍토적인 statistically통계상으로 tractable다루기쉬운 compile엮다,편집하다 elevation고도,승진 acidity산성 rarity희귀성 status상태,신분 aesthetic심미적 diameter지름 reveal드러내다 trait특성 represent대표하다 prominently두드러지게 presumably아마 evolve발달하다 susceptible민감한 bias편견

 

해석

과학자들은 시시한 식물보다 예쁜 식물을 연구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카리스마 메가파우나"라는 용어를 누가 발명했는지는 시간 속에서 잊혀진다. 하지만, 그것은 실제적인 현상을 묘사하는데, 그것은 크고 화려한 동물들이 생물학자들로부터 불균형적인 관심을 받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연구자 자신의 편견을 반영하는 것인지 아니면 화려한 종 보존에 대한 더 넓은 대중의 관심의 결과인지, 그리고 그 관심에 수반되는 부수적인 기금에 대한 결과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아마 둘 다 약간일 것이다. 하지만 동물의 왕국에 참다운 것은, 이제 밝혀진 바로는, 식물 왕국에 대해서도 진실이다. 이탈리아 토리노 대학의 마르티노 아다모가 자연 식물에서 이번 주를 묘사하고 있다.

 

토리노 근처의 산에서 테프로세리스 발비시아나의 지저분한 노란색 꽃무늬 래그워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다마도 박사는 이 지역에서 발견된 다른, 더 아름다운 종에 대한 정보를 추적하는 것이 자신의 연구 대상에 대한 것 보다 더 쉽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그가 동물학자들의 잘 증명된 쇼키에 대한 선호가 식물학자들에게까지 뻗어나가는지 궁금하게 만들었다. 그 사실을 알기 위해, 그는 그 문제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동료 연구원 한 팀을 모집했다.

 

그 프로젝트를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 연구팀은 Dr. Adamo의 원래 조사 영역인 남서부 알프스 지역으로 그들의 관심을 제한했다. 조사에 따르면 여기에는 113개의 토착 식물이 서식하고 있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충분할 만큼 크지만 다루기 쉬울 정도로 작은 숫자이다.

 

먼저 연구팀은 이들 종에 대해 생태학적 특성(선호 고도, 토양 산도, 광도 및 습도), 희귀성(범위 크기, 국제자연보전연맹에서 기술한 보존 상태), 심미성(꽃색, 줄기 높이, 꽃 직경) 3가지 특성을 기록한 데이터를 집계했다. 그리고 나서 그들은 1975년부터 발행된 논문을 찾기 위해 과학 웹이라는 사이트를 

검색했다.

 

그들은 280개의 그러한 논문을 발견했는데, 통계 분석을 통해 특정 식물들이 다른 식물들보다 더 많이 연구되었을 뿐만 아니라 우연히 기대했던 것보다 더 자주 특정한 특성을 공유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것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꽃색이었다. 트럼펫 젠티아나 리구스티카와 같은 푸른 꽃을 가진 식물들은 과도하게 표현되었다. 흰 꽃 식물도 잘 피었다. 그리고 그들의 꽃을 눈에 띄게, 긴 줄기에 전시하는 사람들도 역시 그랬다.

 

예상보다 더 큰 과학적 관심의 또 다른 원인은 식물의 범위였다. , 식물의 범위가 클수록 좋다. 아마도 그것은 연구의 용이성의 결과일 것이다. 그러나 카리스마의 문제에서, 꽃들이 끌어들이기 위해 진화한 곤충들처럼, 식물학자들은 과시적인 것에 매료되어, 따라서 그들의 동물학 동료들만큼이나 그들의 주제를 선택하는 데 있어 미적 편견에 민감하다.

 

과학_식물연구의 편향성.pdf

 

신고공유스크랩
“코칭”

댓글 0

댓글 쓰기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번호 분류 제목 날짜
공지 [편입:다푼다] 합격생이 상담해 드립니다~! 22.01.19.18:30
27 독해자료
file
22.06.07.10:49
26 독해자료
file
22.06.02.19:10
25 독해자료
file
22.05.26.09:55
24 독해자료
normal
22.05.24.18:16
23 독해자료
image
22.05.18.15:33
22 독해자료
file
22.05.10.11:18
21 독해자료
file
22.05.03.16:50
20 독해자료
file
22.04.25.13:14
19 독해자료
file
22.04.12.10:32
18 독해자료
file
22.03.28.18:31
17 독해자료
file
22.03.22.12:11
16 독해자료
file
22.03.15.15:19
15 독해자료
file
22.02.03.15:33
14 독해자료
file
22.01.27.13:14
13 독해자료
file
22.01.25.12:15
12 독해자료
file
22.01.25.12:12
독해자료
file
22.01.18.13:23
10 독해자료
file
22.01.13.12:55
9 독해자료
file
22.01.11.14:18
8 독해자료
file
21.12.17.1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