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next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독해자료 [편입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 문학 / 라틴문학의 시작

서강대인문합격생
119 1 0

Beyond Greek: The Beginnings of Latin Literatur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revival of interest in the classics. Still, things are not what they were. In the 1930s Latin might consume almost half of a 12-year-old boy’s lessons at a British private school. Today, university classics courses accept students with little Latin and no Greek.

It takes “a good classics undergraduate” to tell you what every child used to know, that the Minotaur was “the half-brother of Ariadne, and that he was killed by Theseus”. With over 120 pages of notes and references, Denis Feeney’s study of the beginnings of Latin literature is not designed to attract more first-year students. It is written by the professor of Latin at Princeton University for other academics. However, his bold theme and vigorous writing render “Beyond Greek” of interest to anyone intrigued by the history and literature of the classical world.

With hindsightsince the Romans followed the Greeks, as even today’s schoolchildren knowit can seem obvious that the Latin works of Cicero, Virgil and Horace would succeed those of Homer, Sophocles and Aeschylus. Not so, says Mr Feeney. It was “one of the strangest events in Mediterranean history” that the Romans began producing Greek-style tragedies, comedies and epics before developing a fresh vernacular literature of their own. After all, other powers such as Persia and Egypt, also in contact and conflict with Greece, did nothing of the sort.

It probably started in 240BC when the Ludi Romani, the great annual festival, allowed a Greek play to be staged in Latin translation. The Romans were no strangers to other cultures. With their defeat of Carthage and emergence as the dominant power, they were confident and suffered no “cultural cringe”. But it was the translations, in a Latin metre, of Homer and Attic drama by Livius Andronicus, “not a natural or inevitable thing to happen”, that paved the way for later literature. They were helped by Greeks accommodating the rising power. Whereas translators today mostly convert texts into their first language, Livius was a Greek, a native speaker of the source language, and Naevius, who followed him, though born in Italy, had Greek as a childhood language. Only later did it become the norm for a Roman such as Cicero to translate into Latin.

A colonising power tends to impose its language on a subject land. However, for several generations, the relative status of Greek and Latin was in flux: to Romans, “Greek” was both the vernacular of slaves and the classical Attic standard of revered literature. But by the time Ennius, considered the father of Latin poetry, died in 169BC, Latin literature “had achieved escape velocity”. Self-assured Roman elites had become happily bilingual and biliterate, and in time this helped them rule a widespread and polyglot empire.

Mr Feeney contrasts the Romans with the Etruscans and the Carthaginians, neither of whom appear to have possessed a literature; and he provides interesting 

comparisons, for example with Japan’s borrowing of Chinese characters, first to write in Chinese and only later adapted to write Japanese. What was astonishing about Ennius’s “Annales” is that he superimposed Roman history upon that of the Greeks, “in a Homeric epic written in a language that was not Homer’s”. By now the growth of Latin literature was as certain as the expansion of Roman power.

 

어휘 vigorous 활발한, (문체가) 강력한, 격렬한 render ~가 되게 하다, 주다, 제공하다, 표현하다, 번역하다 intrigue ~의 호기심(흥미)를 돋우다, 손에 넣다, 달성하다 hindsight 뒤늦은 깨달음 vernacular 제 나라말, 자국어, 방언, 사투리, 은어 pave the way for ~을 위해 길을 열다, ~에 대해 준비하다, 촉진하다 accommodate 수용하다, 숙박시키다, 편의를 도모하다, 공급해주다, 적응시키다, 조절시키다, 순응하다 flux 유동, 흐름, 끊임없는 변화 bilingual 두 개의 언어를 할 줄 아는 superimpose 얹다, 포개 놓다, 참가하다, 덧붙이다, 겹쳐놓다

 

해석 최근 몇 년간 고전에 대한 관심이 다시 부활하고 있다. 그러나 상황은 예전과 같지 않다. 1930년대에 라틴어는 영국의 사립학교 12세 소년들의 수업의 거의 절반에 사용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대학의 고전 강좌들은 미숙한 라틴어를 구사하거나, 그리스어도 구사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받아들인다.

미노타우루스가 일찍이 '아리아드네의 이복형제이며 테세우스에게 살해당했다'는 것을 아이들이 다 알고 있었다는 것을 전하려면 '훌륭한 고전학부'가 필요하다. 120쪽이 넘는 주석과 참고문헌을 가진 Denis Feeney의 라틴문학의 기원에 관한 연구는 1학년 학생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설계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프린스턴 대학의 라틴어 교수가 다른 학자들을 위해 쓰고 있다. 그러나 그의 대담한 주제와 강력한 문장은 고전 세계의 역사와 문화에 호기심을 느낀 사람들에게 그리스어 이상의 흥미를 갖게 한다.

요즘 학생들도 알다시피, 로마인들이 그리스인들의 뒤를 이었기 때문에, 키케로, 버질, 호라테스 등 라틴어 작품이 호메로스, 소포클레스, 에슐로스의 작품 뒤를 이을 게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피니씨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로마인들이 새로운 자국어 문학을 개발하기 전에, 그리스식 비극과 희극, 서사시를 짓기 시작한 것은 지중해 역사상 가장 기묘한 사건 중 하나였다. 결국 페르시아, 이집트 등 그리스와 접촉 및 대립을 하고 있는 다른 나라들은 이러한 현상에 어떠한 일도 하지 않은 것이다.

이것은 기원전 240년 매해 개최되는 축제인 루디 로마니에 그리스의 연극을 라틴어 번역으로 상연했을 때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로마인들은 다른 문화들에 개방적이었고, 카르타고에서의 패배와 강력한 세력의 출현은 그들에게 자부심을 가지게 만들었으며, 문화 사대주의 또한 없었다. 그러나 라틴어의 운율로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의 호메로스와 다락방의 희곡을 번역한 것이 나중의 문학의 길을 개척하게 된다. 그들은 대두하는 세력에 순응한 그리스인의 도움을 받았다. 현재의 번역가들은 텍스트를 그들의 모국어로 변환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리비우스는 그리스인이고, 기원언어(모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이었다. 또한 그를 따른 네비우스는 이탈리아 태생이지만, 어린 시절 언어로 그리스어를 구사하였다. 후에야 케케로 같은 로마인들이 라틴어로 번역하는 경우가 흔해졌다.

식민지배국은 그 언어를 신민의 땅에 강요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몇 세대에 걸쳐 그리스

어와 라틴어의 상대적 지위는 유동적이었다. 로마인에게 그리스어는 노예의 모국어이자 고대 아틱스의 숭상문학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라틴시의 대부로 일컬어지는 엔니우스가 기원전 169년 죽을 무렵에는 라틴문학은 탈출 속도를 달성하고 있었다. 자신만만한 로마의 엘리트들은 행복하게도 이중언어에서 읽고 쓸 줄 알게 되었고, 이는 마침내 광범위한 다언어제국을 지배하는 것에 기여하였다.

피니 씨는 로마인을 에트루리아인과 카르타고인을 대조하지만, 어느 쪽도 문학을 갖고 있지 않았던 것 같다. 예를 들어 일본이 한자를 차용한 것에 대해서는 우선 중국어로 썼다가 나중에야 일본어를 쓰게 되었다는 흥미로운 비교를 하고 있다. 엔니우스 '아날레스'의 놀라운 점은 호메로스의 언어로 쓰이지 않은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로마사를 덧씌운 것이다. 라틴 문학의 발전은 로마의 세력 확대만큼이나 확실했다.

 

문학_라틴문학의 시작.pdf

신고공유스크랩
공머니님 포함 1명이 추천
“코칭”

댓글 0

댓글 쓰기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번호 분류 제목 날짜
공지 [편입:다푼다] 합격생이 상담해 드립니다~! 22.01.19.18:30
39 독해자료
file
22.05.10.11:18
38 독해자료
file
22.05.03.16:50
37 독해자료
file
22.04.25.13:14
36 독해자료
file
22.04.12.10:32
35 독해자료
file
22.03.28.18:31
독해자료
file
22.03.22.12:11
33 독해자료
file
22.03.15.15:19
32 검색현황
normal
22.02.05.11:51
31 독해자료
file
22.02.03.15:33
30 독해자료
file
22.01.27.13:14
29 독해자료
file
22.01.25.12:15
28 독해자료
file
22.01.25.12:12
27 독해자료
file
22.01.18.13:23
26 독해자료
file
22.01.13.12:55
25 독해자료
file
22.01.11.14:18
24 모의고사
normal
22.01.05.01:39
23 독해자료
file
21.12.17.18:28
22 독해자료
file
21.12.08.14:42
21
normal
21.12.07.14:15
20 독해자료
file
21.11.29.13:56